손실보상 변호사/감정평가사
행정심판 임의적 전치주의 본문
728x90
1. 임의적 전치주의의 의의
- 취소소송은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당해 처분에 대한 행정심판을 제기할 수 있는 경우에도 이를 거치지 아니하고 제기할 수 있다(행정소송법 제38조 제2항).
- “행정심판”은 행정기관이 재결청이 되는 행정쟁송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실정법상 행정심판, 이의신청, 심사청구, 심판청구, 소청심사 등으로 불리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.
2. 임의적 전치주의하에서 행정심판의 실익
- 위법뿐 아니라 부당을 주장할 수 있다.
- 절차가 비교적 간단하다.
- 행정소송절차에서 행정심판기록 제출명령제도(행정소송법 제25조)에 의하여 간편하게 소송자료를 얻을 수 있다.
- 행정소송의 제소기간은 행정심판 재결서 정본을 송달받은 날부터 기산된다(행정소송법 제20조 제1항 단서).
728x90
'법이론과 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상속재산 은닉 또는 부정소비 등 (0) | 2023.04.12 |
---|---|
상속재산의 처분행위 (0) | 2023.04.12 |
행정심판의 필요적 전치를 요하는 처분 (0) | 2023.04.12 |
필요적 전치주의가 적용되는 행정소송 (0) | 2023.04.12 |
부당노동행위와 관련한 정당사유의 경합 (0) | 2023.04.12 |